User image

누르면 커집니다.

어떻게 순록은 썰매를 날아다니게 할 수 있는걸까?
어떻게 산타는 단 한명이 온 세계 착한 어린이들에게 선물을 줄 수 있는걸까?
굴뚝이 없는 우리집같은 경우에는 어떻게 안으로 들어와서 선물을 두고 가는걸까?
난 이것들이 기적만 같았었다.

언제 이런 궁금증이 없어지게 된거지?

이때까지 별로 신경을 쓰지 않았던 주제이지만, 지금 한번 돌이켜 생각해보니 이게 아마도 유치원에 다닐 때 였던 것 같다.
어느 해였던가 이제는 기억도 안나지만 크리스마스 이브 2일 전이었을거다. 방에서 잠을 자고 있었는데 (그 떄만해도 일찍 자고 일찍 일어나는 착한 어린이였다.) 아버지가 들어오시는 소리가 났고 그냥 꿈으로 빨려들어가면서 들었던 것인지라 그대로 잠에 빠졌다.
그날 새벽... 갑자기 쉬 마려워서 깼는데 화장실에 다녀와서 다시 방에 들어가려하는데 의자 위에 (아니... 그냥 거실에 놓여져있었던가?) 무슨 박스가 놓여져있는 것을 보았다. 이게 뭘까, 하고 갑자기 무엇인지 궁금해져서 가까이가서 보았는데 한달 전부터 노래를 불러왔던 장난감이 놓여져있는 것이 아닌가.
아마도 나는 꽤 그때도 성숙했었나보다. 부모님이 나 놀라라고 준비한 선물을 주기도 전에 내가 알아채면 부모님이 얼마나 실망하실까 싶어서 그냥 가슴에 묻어두고 방에 들어와 잤거든. (물론 그 후 잠을 잘 수 있었느냐하는 것은 전혀 다른 문제이다.)
다음날이 되어서 어땠는지는 잘 생각이 안난다. 그냥 희미하게 '왜 안주실까?'라는 의문을 품었다는 것만 기억날 뿐...
그리고 이브날... 유치원에서 산타클로스 할아버지가 아이들에게 하나씩 선물을 나누어주었다. 나도 하나 받았지. 큼직~한 왠지 익숙한 크기의 상자를. 아마 그 때였던것 같다. 순록이 날아다니지도 않으며, 산타클로스는 그리 빠르지도 않고, 굴뚝이 없는 집에는 어떻게 배달하는지를 고민할 필요도 없다는 것을 알았을 때가...

그 이후로는 다 알면서 짜고치는 식으로 그냥 나이가 어리니까 선물을 받을 수 있는 날이라는 인식밖에 없었던 것 같다.
좀 날짜를 많이 뛰어넘어서 고등학교 때에는 어차피 안받았고 그냥 쉬는 날이고 TV에서 하는 영화 좀 보는 정도 날이었다.
대학 때는... 왠지 추억이 별로 없군. 군대에서는 눈치우느라 바빴고...
졸업하고 나서는 커플들이 그냥 쬐끔 부러웠다가 말았던 기억도 있고...

점점 더 확실해져갔다. 크리스마스에 기적 따윈 없다고...
그렇게 몇 년이 지나갔다.

...
많은 것을 중략...
...

...
하지만 2008년 12월 25일. 난 이제 크리스마스에 기적이 있을 수 있다고 믿을 수 있게 되었다.
정말이지 있을 수 있는건가? 다음날 일어나서 이게 혹시 꿈이었던 것은 아닐까? 싶은 그런 행운이 내 손 안에 쥐어져 있는 것을 난 그날 알 수 있었다. 있을 수 있는건가? 라고 의심이 들었기에 나는 이것을 기적이라고 부른다.

고마워요, 여친님.
열심히 할게요. ^_________________________^

Posted by 좋은 인연
,
"뿅가죽네" 라는 단어를 아실 겁니다. 그냥, 좋아 죽겠다 = 뿅가죽네 정도의 뉘앙스로 쓰고 있었는데...

우선 링크 여기 하나.

근데 스스로 생각해보아도 나도 진짜 그럴 것 같아서...
그래서 검색해 보았습니다. 검색어 : "오빠라는 단어"

......아 다행이다. 나만 그런게 아니었어. ^_________________________^

Posted by 좋은 인연
,
회사 생활을 하던, 학생이던, 혼자서 독야청청하게 살아가는 분 아니라면 하루에도 무수히 상대방과의 의견 죠율이 필요할 겁니다.

그런데 종종 대화를 나누어보면 말을 끝내기도 전에 바로 치고 들어와서 자신의 이야기를 죽 하는 경우를 참 많이 보네요.
한번은 좀 짜증이 나길래 좀 노골적으로 '왜 자꾸 말을 끊느냐'라고 물어본 적이 있었습니다. '그 정도 들으면 무슨 얘기인지 알겠어서 그 쯤에서 내 얘기를 한거다' 라더군요.

'한국말은 끝까지 들어봐야한다' 라는 격언을 내걸 것도 없이 그렇게 당하면 기분이 나쁘다는 것을 모르는 걸까요? 제가 하는 말이 서두 몇 마디만 들어도 바로 알 수 있을만큼 저를 그렇게나 잘 파악하고 있다는 뜻인걸까요?

사실 의견을 나눌 때는 서로 간의 의견 그 자체의 합당함보다도 그때 그때의 상황과 분위기에 따라서 곡해가 되어서 받아들여진다거나, 오해를 하게 되는 경우가 참 많습니다. 그래서 참 신경을 쓰려고 하는게 대화할 때의 분위기를 최대한 부드럽게 유지시키자, 라는 부분입니다.

요즘 시도해보고 있는 방법은 '상대방에게 있는 대답을 이끌어내기'입니다.
상대방이 무언가 말을 했을 때, 의견에 이의가 있으면 종결형으로 말해버리는 것이 아니라 '무언가 이렇게 말한 이유가 있을 것이다'라는 지점에서 생각을 출발시켜서 상대방의 의도를 파악할 수 있는 질문을 던지려고 하고 있습니다. 그러다보니 좋은게 몇가지가 있더군요.

1. 상대방의 의중에 최대한 근접해서 알 수 있다.
2. 상대방도 말을 하면서 놓쳤던 부분을 질문을 받음으로 파악할 수 있다.
3. 의견을 제대로 듣고 있다는 인상을 상대방에게 줄 수 있어서 대화의 분위기가 딱딱해지지 않는다.

물론, 한창 열올라서 이야기 하고 있으면 이런거 머리에 남아있는 경우 별로 없긴 합니다. -_-
그래도 최대한 할 수 있는만큼은 해 볼라구요.
그렇게 조금씩 나아지는 거겠죠!
Posted by 좋은 인연
,